글
본 글은, 사진이 위! 설명글은 아래! 입니다. 혼동하지 마세요^^
안드로이드 설치 및 초기설정된 이미지를 올렸습니다.
vmware설치만 하고 해당 이미지를 구동하시면 바로 4번으로 넘어가셔도 됩니다.
http://kssblog.tistory.com/143 <- 안드로이드가 깔린 vmware 이미지 다운링크가 있는 글입니다.
카카오톡에 친구를 추가해보겠습니다.
5.1 전화번호부를 csv로 저장하기
5.2 Gmail에 로그인하여 주소록 업로드
5.3 file expert로 vcf 파일 sdcard로 전송하기
5.4 카카톡에서 주소록 동기화
시작합니다~~~~~~~~~~~~~ ---------------------------------------
5.1 전화번호부를 csv로 저장하기
핸드폰기종마다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전화번호부를 여러가지 파일형태로 추출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전화번호부 추출방법은 본인의 폰에 맞게 해주세요.
기존의 전화번호부에서 이름과 핸드폰번호를 찾아서 아래 csv 파일을 다운받아 리스트를 만듭니다.
참고) 안드로이드에 주소록 추가시 중요한건 어떤 과정을 거치든 'vcf(vcard)' 로 만들어서 인식시키는 일입니다.
핸드폰 전용 소프트웨어의 경우 주소록을 vcf 파일을 만들어 주는 기능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간혹 이들 vcf파일을 안드로이드 주소록에 바로 올릴 경우 제대로 인식이 안되는 경우도 있더군요.
글자가 깨진다던가, 필드 값이 엉망이라던가..
1) 구글 주소록에서 인식하는 csv 파일을 만듬.
2) 구글주소록(contacts)에 만들어진 csv 파일 업로드
3) export기능 사용하여 vcf 파일 추출.
4) file expert 공유기능을 사용하여 vcf 파일을 vmware 안드로이드로 전송
5) 안드로이드 주소록 추가
위 방법이 가장 확실하더군요^^
위 파일을 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5.1.1 Name과 Mobile phone 라고 쓰여져 있습니다.
이 부분은 건드리지 마시고(헤더명이 바뀌면 구글이 파일을 정확히 인식이 못합니다.)
밑부분에 주욱 이름과 번호를 써주세요.
예시로 '길동이'를 추가했습니다.
다 채우셨으면 저장을 합니다.
저장시 경고메세지는 무시하시고 csv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시면 됩니다.
혹여나 추가 정보를 기입할 필요가 있으신 분은 헤더명에 memo를 추가하셔서 사용하시면됩니다.
------------------------------------------------------------------------------
5.2 Gmail에 로그인하여 주소록 업로드
Gmail로 로그인 해주세요
5.2.1 contacts를 선택합니다. (한글로 보이는 분들 - 메뉴의 위치는 변동이 없을거예요)
5.2.2 more actions -> import를 선택
5.2.3 찾아보기 선택 -> 전화번호목록이담긴 csv 파일 선택
5.2.4 결과를 확인하세요. 1개가 잘 등록되었네요.
참고) 헤더를 잘못건드리면 전화번호가 mobile 에 없고 memo로 가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추후에 안드로이드 주소록과 동기화가 되더라도,
안드로이드 주소록의 메모란에 저장이 되어 전화번호로 동기화 되지 않습니다.
------------------------------------------------------------------------------
5.3 file expert로 vcf 파일 sdcard로 전송하기
5.3.1 vcf 파일 만들기
위의 설명에서 import 대신 추출할 연락처 선택 후 export 만 해주면됩니다.
방법) Gmail 로그인 -> 연락처 선택 -> more actions의 export -> vcard 형식으로 주소록 내보내기 -> pc에 저장
5.3.2 안드로이드의 sdcard에 vcf 파일 복사
이 부분도 따로 설명드리지 않겠습니다.
file expert 사용법은 http://kssblog.tistory.com/139 를 참조해주세요
5.3.2.1 file expert 를 써서 ftp 공유(혹은 web공유) 열기
5.3.2.2 공유기능으로 vmware 안드로이드의 sdcard에 vcard 파일 저장
---------------------------------------------------------------------
5.3.3 안드로이드 주소록에서 vcf 파일정보 불러오기
방법) 안드로이드 주소록 열기-> 휠버튼(마우스 가운데 버튼) 누른 후 불러오기 클릭 -> sd카드에서 불러오기 ->완료 순입니다.
그림을 참고하세요~
5.3.3.1 주소록으로 들어가서 주소록을 클릭해주세요
추가사항) 다른 방법으로 안드로이드에서 구글계정과 동기화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중간에 서버 설정값을 아래와 같이 바꾸어 줘야 합니다.
-> 사용자이름의 역슬래쉬 삭제
-> 서버 설정 gmail.com 을 -> m.google.com 으로 변경
-> ssl 보안 두개 모두 체크
-------------------------------------------------------------------------------------
5.4 카카톡에서 주소록 동기화
방법) 카카오톡 실행 -> 설정 -> 친구관리 -> 최근동기화 우측 동그란 화살표 클릭!
-> 친구추가 완료
5.4.1 카카오톡 실행 -> 설정 -> 친구관리
5.4.2 최근 동기화 우측의 동그란 아이콘 클릭
5.4.3 길동이가 추가되었습니다~~~!
두두두두두둥! 이제 친구 추가 까지 모두 끝났네요
이제 pc 카카오톡을 마음껏 즐기시면 됩니다.
- 주의사항 -
안드로이드를 종료하실때 vmware의 파워버튼으로 강제종료하지 마세요.
이렇게 하다가 카카오톡 본인의 계정자료까지 싹 날라거는 상황을 여러차례 겪었습니다.
반드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상에서 F4키 -> 종료 로 종료해주세요!
http://kssblog.tistory.com/136 | 1. vmware workstation 설치하기 |
http://kssblog.tistory.com/137 | 2. vmware workstation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만들기 |
http://kssblog.tistory.com/138 http://kssblog.tistory.com/139 |
3. 초기 설정하기 1/2 3. 초기 설정하기 2/2 |
http://kssblog.tistory.com/140 | 4. 카카오톡설치 및 계정 등록 |
http://kssblog.tistory.com/141 |
5. 카카오톡 친구추가하기 |
http://kssblog.tistory.com/143 | 초기설정완료한 vmware 링크이미지가 있는 글 |
http://kssblog.tistory.com/144 <-vmware pc 카카오톡 각종 사용 팁 관련글
게시자는 이 글을 쓰기위해 몇 시간이나 되는 시간을 투자합니다.
귀찮으시더라도, view on클릭 및 댓글 남겨주시면 좋겠네요.
'PC카카오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를 활용한 pc 카카오톡 - 6 Tip (133) | 2011.07.10 |
---|---|
vmware를 활용한 pc 카카오톡! - vmware 카카오톡 이미지! (35) | 2011.07.09 |
vmware를 활용한 pc에서 카카오톡하기! - 4. 카카오톡설치 (18) | 2011.07.06 |
vmware를 활용한 pc에서 카카오톡하기! - 3. 초기 설정하기 2/2 (103) | 2011.07.06 |
vmware를 활용한 pc에서 카카오톡하기! - 3. 초기 설정하기 1/2 (63) | 2011.07.06 |
RECENT COMMENT